Discourse는 후원자 전용 커뮤니티 포럼을 쉽게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Patreon은 Discourse와 연동하여 후원자를 멤버십 등급에 따라 추가 및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다음을 살펴보겠습니다.
Discourse.org로 가서 파란색의 무료로 이용해보기(Try it FREE) 링크를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무료 체험 기간인 14일 동안 사용할 요금제를 선택하고 다음 정보를 입력하여 계정을 설정하세요.
- 이메일 주소
- 하위 도메인 또는 도메인. 도메인을 자체 호스팅하지 않는 경우 '임시 도메인이 필요합니다'를 선택하고 사용하려는 하위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자신의 도메인을 호스팅하는 경우 해당 도메인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무료입니다.
- 커뮤니티 이름(향후 변경 가능)

무료 평가판을 시작하려면 결제 수단이 필요합니다. 이전에 Stripe를 사용하여 카드 세부정보를 입력한 경우, 휴대전화로 전송된 코드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또는 신용카드 세부정보를 입력해도 됩니다. 그런 다음 '14일 무료 평가판 시작' 버튼을 클릭하세요!
Discourse로부터 두 개의 이메일 알림을 받게 됩니다. 첫 번째 이메일은 평가판 사용을 위해 가입한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전송되며, 두 번째 이메일은 Discourse 인스턴스가 준비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에 따라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Discourse가 인스턴스를 돌리기 때문에 두 번째 이메일을 받는 데는 몇 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암호 설정 후에는 Discourrse에서 아래 단계에 따라 커뮤니티를 설정하게 됩니다. 안내에 따라 각 단계를 완료한 후 다음을 선택하세요.

완료할 항목:
- 언어 선택
- 커뮤니티 이름 입력 - 향후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에 대한 설명 입력 - 이는 커뮤니티에 대한 짧은 자기소개로, 커뮤니티에 새로 오신 분들이 가장 먼저 읽게 되는 내용입니다.
- 액세스 권한 설정 - 커뮤니티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공개를 선택하면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도 누구나 포럼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비공개를 선택하면 로그인한 사용자만 포럼을 찾을 수 있습니다. 후원자를 위한 비공개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정인을 커뮤니티에 초대할 수 있는 옵션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사용자에게 별도의 초대장을 보내야 합니다.
- 연락처 정보 - 여기에는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사람의 이메일 주소, 일반 연락처 웹페이지(예: 웹사이트 또는 Patreon 페이지), 자동 메시지가 전송되는 사용자가 포함됩니다.
- 조직 정보 - 회사 소속인 경우 분쟁 발생에 대비해 회사 이름, 관할법 및 도시를 입력하세요. 회사 소속이 아닌 경우 이 단계를 건너뛸 수 있습니다.
- 테마 - 커뮤니티에 사용할 색상 테마, 로고, 아이콘, 홈페이지 형식 및 이모지 스타일을 선택하세요.
- 직원 초대 - 여기서 커뮤니티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을 초대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설정을 완료하면 'Discourse가 준비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완료를 선택하면 '커뮤니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커뮤니티를 설정했으니 이제 Patreon에 연결해야 합니다.
먼저 오른쪽 상단 버거 메뉴를 선택한 다음 관리자 > 플러그인을 선택하세요. 아래로 스크롤한 다음 'Discourse-Patreon' 옆의 설정 아이콘을 선택하세요. 몇 단계 후 다시 되돌아올 예정이니 이 탭은 꼭 열어 두세요.

별도의 브라우저 창에 URL(http://patreon.com/portal/registration/register-clients)을 입력하세요.

'클라이언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고 모든 앱 이름과 설명을 입력하세요. 리디렉션 URI도 입력해야 합니다. 리디렉션 URI를 가져오려면, Discourse 사이트를 열어 둔 브라우저 창으로 돌아가 하위 도메인(https://yoursubdomain.trydiscourse.com)이 포함된 Discourse URL을 복사하세요.
이 URL을 '리디렉션 URI' 필드에 붙여넣은 다음 '/auth/patreon/callback'을 추가하여 리디렉션 URI 전체가 https://yoursubdomain.trydiscourse.com/auth/patreon/callback과 같이 표시되도록 합니다.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앱 이름과 클라이언트 ID가 표시됩니다. 아래쪽 화살표 아이콘을 선택하여 모든 클라이언트 정보를 표시하는 메뉴를 여세요.
이제 클라이언트 정보를 복사하여 다시 Discourse 플러그인 설정에 붙여넣으세요.
***Discourse와 Patreon 사이트를 열어 둔 브라우저 창을 오갈 예정이므로 브라우저 창을 나란히 두는 것이 좋습니다.***
Patreon 클라이언트 페이지에서 다음 내용을 복사하여 해당 Discourse 필드에 붙여넣으세요.
- 후원자 클라이언트 ID
- 후원자 클라이언트 비밀번호
- Patreon 웹후크 비밀번호
- Patreon 크리에이터 액세스 토큰
- Patreon 크리에이터 새로고침 토큰
저장할 각 필드 옆의 녹색 화살표를 선택해주세요!


이제 https://yoursubdomain.trydiscourse.com/admin/plugins/patreon으로 이동한 후 “Patreon 데이터 및 동기화 그룹 업데이트”를 선택하세요. 팝업이 채워지고 새 데이터가 다운로드되었는지 확인할 것입니다. 페이지를 새로 고치고 확인을 선택하세요.
후원자가 Discourse 포럼에 참여하는 방법을 확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시크릿 모드로 탭을 열고 Discourse 커뮤니티 URL을 붙여넣은 후 Patreon으로 버튼을 선택하고 Patreon 로그인 정보를 사용하여 로그인하세요.
시크릿 모드로 탭을 열고 Discourse 커뮤니티 URL을 붙여넣은 후 Patreon으로 버튼을 선택하고 Patreon 로그인 정보를 사용하여 로그인하세요.

로그인 정보를 입력 후 Oauth 창이 나타나면 허용 을 선택하세요. 후원자에게 Discourse 계정이 없는 경우 이때 계정 생성 안내가 표시되며,
이후 Discourse 커뮤니티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